알리바바, 국내에 물류센터 건립…韓 정부·업계·소비자들 반응은

황효정
2024년 03월 14일 오후 7:27 업데이트: 2024년 03월 14일 오후 8:55

중국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 알리익스프레스의 모기업 알리바바그룹이 한국에서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혔다. 이에 대해 국내 유통업계와 정부는 물론, 심지어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불신 섞인 우려가 나오고 있다.

1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한국 시장 공략을 목표로 향후 3년간 11억 달러(한화 약 1조4471억 원)를 투자한다. 알리바바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사업계획서를 최근 한국 정부에 제출했다.

알리바바는 우선 올해 안에 국내에 축구장 25개와 맞먹는 면적인 약 5만4450평 크기의 통합물류센터를 건립한다. 단일 시설로는 국내에서 손에 꼽히는 규모다.

그 밖에도 한국 상품의 글로벌 수출 플랫폼 역할을 하는 글로벌 판매 채널 개설, 알리익스프레스 외 ‘라자다’, ‘미라비아’ 등 알리바바 산하의 다른 이커머스 플랫폼에서의 한국 상품 판매 계획 등을 준비 중에 있다.

알리바바그룹 관계자는 “한국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 확대할 것이며 장기적으로 한국 로컬 셀러와의 협력, 소비자 보호, 중소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알리바바가 본격적으로 국내 시장 진입 계획을 발표한 데 대해 국내 업계에서는 “우리나라 도소매업 소상공인은 물론, 쿠팡 등 국내 이커머스 업체들까지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소비자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국내 누리꾼들의 반응도 싸늘하다. 이날 보도를 접한 누리꾼들 대부분은 “중국과 중국 자본은 ‘뒤통수’를 치기 마련”이라며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우리 정부 또한 해외 이커머스 플랫폼 규제를 강화하며 알리바바를 비롯한 중국 플랫폼의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전날(13일) 알리익스프레스와 같은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도 전자상거래법, 공정거래법 등 국내법을 똑같이 적용해 차별 없이 집행할 수 있도록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소비자 보호 대책을 발표했다.

지난해 3월 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케이팝 스퀘어에 오픈한 ‘알리익스프레스 팝업스토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레이 장 알리익스프레스 한국 대표가 기조 연설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이에 알리바바는 예산을 투입해, 공식 고객서비스센터를 개설하고 위조 혹은 가품일 경우 100% 환불하는 등의 소비자 보호 대책도 마련한다는 방안을 내놨다. 지속해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개인정보 보호에 대해서는 이미 한국에 개별 데이터센터를 구축, 이곳에서 국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국내 법 규정에 따라 처리하고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과연 사실일까. 이달 12일 국내 언론들의 보도에 따르면, 알리익스프레스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수집된 개인정보를 “귀하의 사전동의가 있는 경우에 한해 당사는 다음과 같은 제3자에게 귀하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급박한 생명·신체·재산의 이익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한해, 동의 없이도 판매자인 제3자에게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내용을 고지하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의 개인정보 위탁업체로는 알리바바그룹 계열사인 ‘알리바바 다모’, ‘알리바바 클라우드’, 그리고 중국 소재의 ‘중안보험’, ‘캐세이 보험회사’ 등이 있다. 다시 말해 국내 소비자들의 개인정보가 중국에 위탁될 수 있다는 의미다. ‘급박한 생명·신체·재산의 이익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라는 조건이 모호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특히 중국은 법적으로 자국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를 정부가 수집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더욱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국가정보법 7조는 어떤 조직과 개인도 모두 관련 법에 따라 국가의 정보 공작 활동을 지지하고 협조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해당 법이 존재하는 만큼 중국 기업이 우리나라를 비롯해 국외 서버에 보관 중인 개인정보라도 중국 당국에 흘러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는 상황이다.

실제 지난해 10월 우리나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알리익스프레스 주문 고객의 개인 정보가 중국으로 이전될 수 있는 상태지만, 제공된 개인정보가 어떻게 관리되는지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비판이 제기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