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트3국’ 라트비아·에스토니아, 중국 주도 협력체 탈퇴

한동훈
2022년 08월 13일 오후 7:50 업데이트: 2022년 08월 13일 오후 7:53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가 중국이 주도하는 중·동유럽국가들과의 경제협력 기구 ’16+1′ 정상회의에서 탈퇴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지난해 이 회의를 탈퇴한 리투아니아에 이어 발트 3국이 모두 공산주의 중국과의 경제 협력체를 탈퇴했다.

미국 매체 폴리티코는 중국 정부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와의 우정에 “한계가 없다”고 발언한 것을 두고 발트 3국이 깊이 분노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발트 3국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구소련 제국의 부활을 꿈꾸고 있고 우크라이나 침공은 그 일부라고 우려하고 있다.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등 발트 3국은 1991년 9월 구소련으로부터 독립했으며 점령 기간 해외에 망명정부를 설립하는 등 독립 노력을 기울인 역사를 지니고 있다.

발트 3국은 지리적으로도 인접해 있으나, 발트 의회를 설립해 운영하면서 국제사회에서 서로의 입장을 지지하는 국가 간 협력을 유지해왔다.

’16+1 정상회의’는 중국 공산당(중공)이 중·동 유럽 16개국과 경제 문화협력을 위해 2012년 결성한 협력체다. 중공의 대외 영향력 확대 프로젝트인 ‘일대일로’ 사업의 하나다.

이 회의는 2019년 그리스가 합류하면서 ’17+1’로 변경됐다가 2021년 리투아니아가 대만 문제와 관련, 중공에 항의하면서 탈퇴해 ’16+1’이 됐다.

리투아니아는 탈퇴 당시 중공과의 경제협력이 자국에 이익을 가져다주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다른 회원국에도 이탈을 촉구했다.

에스토니아 정부는 11일 성명을 내고 ’16+1′ 탈퇴를 선언하면서, 국제질서와 인권 등의 가치관에 따라 중국 측과의 건설적이고 실무적인 관계를 위해서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성명은 또한 지난해 2월 정상회의 이후 ’16+1’과 관련한 어떤 형식의 모임에도 참석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라트비아 외무부도 이날 성명을 내고 라트비아의 외교 및 무역정책에 관한 현재의 우선순위를 고려해 중·동유럽과 중국 간 참여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발트 3국의 결정에 대해 일각에서는 중공이 보복 조치를 가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리투아니아는 지난해 탈퇴 후 대만과의 우호관계를 더욱 강화했고, 중공은 중국 시장에서 리투아니아 제품을 퇴출하면서 외교관계를 격하했다.

최근 중·동 유럽 국가들은 중국과의 경제협력을 불신하고 있다.

지난 4월 중공은 훠위전 특사를 파견해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폴란드를 순방하도록 하며 관계 복원 노력을 기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