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문한답] ‘K-페미니즘’ 무엇이 문제이고 대안은 무엇일까?

에포크미디어코리아&한반도선진화재단 프리미엄 리포트

최창근
2022년 08월 27일 오전 8:40 업데이트: 2022년 08월 27일 오후 12:35

‘K-페미니즘’ 문제는 무엇이고 대안은 무엇일까요?

답변_오세라비 작가, 대안연대 공동대표
진보 정당 활동을 거쳐 사회연대노동포럼 공동대표, 미래대안행동 공동대표로 활동했다. 한국식 페미니즘 문제를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글을 쓰고 강연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그 페미니즘은 틀렸다’ ‘그 페미니즘이 당신을 불행하게 하는 이유(공저)’ ‘페미니즘은 어떻게 괴물이 되었나(공저)’ ‘성인지 감수성 트러블(공저)’ 등이 있다.

페미니즘은 신좌파 운동의 한갈래

“현대 페미니즘은 ‘신좌파(New Left)운동’의 한 갈래라 할 수 있습니다. 1960년대 말 이른바 ‘68혁명’ 시기 현대 페미니즘이 등장했습니다. 그러다 오늘날은 급진 페미니즘이 주류가 됐습니다. 연원(淵源)을 거슬러 올라가자면 현대 페미니즘은 마르크스주의에서 파생됐습니다. 페미니즘은 정체성 정치이기도 합니다. 정체성 정치가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만났고 오늘날 젠더리즘으로 변화한 상태입니다.”

젠더리즘 문제

“젠더리즘(genderism)은 남녀의 생물학적 차이를 무시하고 성 정체성도 완전히 무시합니다. 정치적 올바름(PC·Political Correctness)주의와 페미니즘은 한뿌리입니다. 이론 자체에 대한 비판을 금지하는 것도 동일합니다. ‘페미니즘’이라는 용어는 1830년 프랑스에서 여성적 특징을 보이는 남성적 환자를 가리키는 의학 용어로 사용됐습니다. 본디 페미니즘은 여성의 지위 향상과 권한 강화를 목적으로 한 사회운동이었습니다. 남성 지배적인 문화를 뒤집으려는 것이었습니다. 페미니즘 운동은 앵글로-색슨 백인 여성 중 중간 계층(middle class)의 주장과 투쟁이었습니다. 18세기 프랑스 혁명으로 촉발된 여성 인권 운동은 법적 권리, 여성 참정권, 여성의 교육권, 노동 참여권 등을 주장했습니다. 1882년 프랑스 여성 위베르틴 오클레르(Hubertine Auclert)가 여성 권리 투쟁의 상징으로 페미니즘을 내세울 것을 최초로 주장했습니다.”

여성 운동 역사

“제1세대 여성운동은 여성 참정권 운동입니다. 1866년 영국에서 전개된 과격한 여성 참정권 운동은 미국 전역에서 인기를 얻었습니다. 영국은 ‘서프러제트(suffragette)’라고 불리는 여성참정권 운동의 결과 1918년 30세 이상 여성 참정권, 1928년 완전한 여성 참정권을 획득했습니다. 미국에서는 1920년 여성 참정권을 획득하였고 대한민국 여성 참정권은 1948년 제정·시행된 제헌헌법에 남녀보통선거권을 규정하면서 도입되었습니다. 제2세대 여성운동은 여성 해방 운동입니다. 프랑스 실존주의 철학자 시몬느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는 현대 페미니즘의 원조이며 젠더리즘에도 영감을 주었습니다. 이어 베티 프리단((Betty Friedan)은 제2세대 여성운동을 전개했습니다. 그는 ‘가정은 안락한 포로수용소이며 가정주부들은 수감자이다. 부엌 바닥에서 일어나자! 수퍼 우먼이 되자!’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다 1960년대 후반 68혁명과 함께 젊은 백인 여성들이 여성해방운동에 참여하며 급진 페미니스트가 등장했습니다. 급진 여성운동은 68혁명 신좌파 남성들로부터 받은 경멸적인 대우에 대한 저항으로 시작했습니다. 이는 급진 페미니즘 운동으로 전환되었고 페미니즘이 이데올로기화되었습니다.”

마르크스주의자라 자각했던 초기 페미니스트

“초기 대부분의 페미니스트들은 스스로를 마르크스주의자라고 생각했습니다. 슐라미스 파이어스톤(Shulamith Firestone)은 ‘성의 변증법’이라는 책에서 마르크스의 역사적 유물론(歷史的唯物論·Historical materialism) 분석 방법을 차용했습니다. 책에서 그는 ‘의식화 교육’의 중요성도 강조했습니다. 슐라미스 파이어스톤을 주축으로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여성단체 ‘레드스타킹’은 소그룹을 조직하여 ‘페미니즘 의식화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의식화(意識化·conscientization)’라는 용어 자체가 페니즘이 좌파에서 유래했다는 방증(傍證)입니다. 마르크스가 의식화 용어를 처음 사용했죠.”

급진 페미니즘과 남성 혐오

“1936년 미국에서 피임이 합법화되었고 1960년대 피임약이 본격 시판되면서 여성의 경제 참여가 증가하고 여성들의 성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습니다. 1973년 ‘낙태운동’을 전개하여 미국 연방대법원이 낙태 인정 판결을 하기도 했습니다. 급진 페미니즘은 모성과 가정(결혼제도)도 공격합니다. 안드레아 드워킨(ndrea Dworkin)은 ‘탈(脫)코르셋’ 운동의 원조입니다. 그는 ‘아름다움 추구는 남성우월주의 문화, 여성혐오이다. 시간 낭비이자 돈 낭비이며 여성의 자존감을 해친다. 가부장제는 강간이며 착취다. 가부장제하에서 모든 딸들은 과거·현재·미래의 희생자이다.’라고 말했습니다. 페미니즘의 남성 혐오 서사, 반(反)남성 운동은 남성이 여성을 대상으로 한 강간, 구타, 살인 문제에만 주목하여 ‘데이트 폭력’ ‘결혼 강간’ 등의 용어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각종 광고, 매스컴, 문화적 생산물에서 여성의 신체를 ‘대상화’하는 것에 주목하며 포르노그라피와 매매춘을 남성 우월주의와 성 착취로 규정하기도 합니다. 급진적 페미니즘은 레즈비언의 이해나 지지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고 게이 권리운동과 연대합니다. ‘자매애는 강하다.’는 식의 여성 간 연대 의식을 강화하는 구호가 등장했고 급진적 페미니즘은 대학교 여성학의 중심이론이 됐습니다. 제3세대 여성운동은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남성 페미니즘, 퀴어 이론(Queer theory), 다문화주의 페미니즘, 교차성 페미니즘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 초반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등장한 새로운 페미니스트 세대입니다.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해체주의와 결합하여 퀴어 이론으로 발전합니다. 이는 젠더(gender)·섹스(sex) 해체, 동성애, 이성애, 성 전환 경계 해체, 문화 해체를 의미합니다. 젠더 개념을 처음 도입한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는 퀴어 이론의 창시자이기도 합니다. 그는 ‘성별은 상황에 따라, 시공간에 따라 변화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생물학적 사실도 부정하며 젠더는 수십 개, 수천 개 조합이 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다문화주의페미니즘·교차성페미니즘은 젠더, 인종, 계급, 언어, 성별, 장애인, 난민, 연령, 성소수자, 사회경제적 지위, 성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모든 양상들이 어떤 식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영향을 주고받는지를 주목합니다.”

K-페미니즘의 현실

“이른바 ‘K-페미니즘’은 현대 페미니즘 모델인 미국 페미니즘 운동과 이론을 직수입하여 국내에 적용한 것입니다. 2002년 정현백(전 여성가족부 장관)의 저서 ‘민족과 페미니즘’에는 “민족해방과 미국 급진 페미니즘이 결합하여 ‘K-페미니즘’이 되었다.”고 서술합니다. K-페미니즘은 민족해방(National Liberation·NL) 페미니스트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586세대 여성 운동가는 586세대 남성 운동권 세력과 더불어 정치 투쟁을 전개 하여 권력 쟁취에 성공했습니다. 대표적으로 1987년,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여성민우회를 설립하여 의회 권력 획득의 교두보를 마련했습니다. 586세대 운동권 남성과 마찬가지로 여성 운동권 세대도 민족해방 계열이 주류입니다. 이들은 반미·반일·친북 성향을 갖고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좌파 여성단체 대부분은 여성운동과 관련 없는 ‘한미동맹 해체’ ‘한미 군사연습 중단’을 주장하는 것입니다.”

페미니즘을 넘어 휴머니즘으로

“페미니즘은 배타적 성향을 지닌 정체성 정치입니다. 성별 고정 관념을 없앤다는 명분으로 고유의 ‘여성성’ ‘남성성’을 공격하고 결국 여성의 실존(實存)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젠더리즘은 아동과 청소년의 성 정체성 혼란도 야기합니다. 페미니스트들은 ‘결혼 제도를 끝장내는 것이 여성 해방의 전제 조건이다.’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페미니즘은 반세기 전의 낡은 유물입니다. 오늘날 여성은 약자·희생자·피해자가 더 이상 아닙니다. ‘21세기 페미니즘’은 페미니즘을 넘어 휴머니즘으로 가야 합니다. 상호 협력하는 파트너십 구축으로 남녀 갈등을 넘어서야 합니다.”

원문 보기
한반도선진화재단 프리미엄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