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소개
  • 오피니언
  • 정치
  • 경제
  • 사회
  • 국제
  • 아트·컬처
  • 라이프
  • 연예·스포츠
  • 에포크TV
  • 에포크TV
  • 프리미엄
  • 오피니언
  • 비주얼뉴스
    • 포토
  • 인터뷰
  • 로컬
    • 지역소식
    • 대학소식
    • 인사·동정
  • 에포크 이야기
    • 에포크 시론
    • 社說
    • 보도
    • 채용
  • 션윈
    • 내한공연
    • 월드투어
  • 정치
  • 북한
  • 경제
  • 사회
  • 국제
    • 미국
    • 중국
    • 아시아·일본
    • 유럽·러시아
    • 오세아니아·호주
    • 북미·중남미
    • 중동·아프리카
  • IT·과학
  • 아트·컬처
    • 공연·전시
    • 음악
    • 미술
  • 라이프
    • 디스커버리
    • 따뜻한 이야기
  • 연예·스포츠
  • 주제별
    • 파룬궁
    • 백신과 건강
    • 중공바이러스(코로나19)
    • 통일전선공작
    • 공자학원
    • 백지혁명
    • 장쩌민 사망
    • 강제장기적출
  • 심층기획
    • 차이나타운
    • 일대일로
    • 중국공산당 침투공작
    • 역대 주한 중국대사 列傳
    • 韓人음악가 정율성
  • 연재
    • 자유와 인권
    • 제4부 언론의 붕괴
    • 미국 건국의 원칙
  • 추천도서
    • 성공한 대통령이 되려면
    • 공산주의 유령은 어떻게 우리 세계를 지배하는가
    • 공산당에 대한 9가지 평론
    • 장쩌민 그사람
    • 전대미문의 사악한 박해
    • 공산주의의 최종목적
    • 당문화 해체
  • 제보
  • 후원하기
  • 광고문의
  • 연락처
  • 뉴스레터 구독
  • 앱 다운로드

음악

  • 오! 신성한 밤 | 베시스라바
    오! 신성한 밤 | 베시스라바
    '오! 신성한 밤'의 기원지는 1843년 프랑스 남부의 작은 마을입니다. 신부는 교회의 오르간을 새로 단장하여 이를 기념하기 위해 마을의 시인 플라시드 까푸에게 시를 부탁하게 됩니다. 같은 해 작곡가 아돌프 아당은 까푸의 ...
  • [피아노 토크] ‘헤르미티지’ 피아노 트리오
    [피아노 토크] ‘헤르미티지’ 피아노 트리오
    ‘피아노 토크’는 NTD 국제 피아노 콩쿠르의 예술 고문이자 심사위원인 저명한 피아니스트 자나라 카세노바(Jonara Khassenova)가 진행하는 NTD TV 시리즈 ...
    2022년 12월 13일 자나라 카세노바
  • 바흐 토카타 아다지오와 푸가 C장조 BWV564 | 클라라 거데스
    바흐 토카타 아다지오와 푸가 C장조 BWV564 | 클라라 거데스
    요한 제바스티안은 열 살부터 성 미카엘 교회(작센 고타 알텐부르크 공국)의 오르간 연주자로 있던 그의 맏형 요한 크리스토프와 함께 ...
  • 바흐의 류트 모음곡 E단조 | 예카테리나 드보레츠카야
    바흐의 류트 모음곡 E단조 | 예카테리나 드보레츠카야
    6개의 장으로 구성된 류트 모음곡(suite)은 실제로는 바흐가 즐겨 사용하던 건반 악기 류트 하프시코드(lautenwerck)를 위해 쓰여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프시코드는 ...
  • [피아노 토크] 고향에 대한 향수, 라흐마니노프의 변주곡
    [피아노 토크] 고향에 대한 향수, 라흐마니노프의 변주곡
    ‘피아노 토크’는 NTD 국제 피아노 콩쿠르의 예술 고문이자 심사위원인 저명한 피아니스트 자나라 카세노바(Jonara Khassenova)가 진행하는 NTD TV 시리즈 ...
    2022년 11월 26일 자나라 카세노바
  • 차이코프스키 ‘잠자는 숲속의 미녀’  3막 그랑 파드되 | 마린스키 발레단
    차이코프스키 ‘잠자는 숲속의 미녀’ 3막 그랑 파드되 | 마린스키 발레단
    차이코프스키의 발레를 위한 세 작품 중 두 번째로 완성된 '잠자는 숲속의 미녀'는(다른 두 작품은 '백조의 호수'와 '호두까기 인형') ...
  • [피아노 토크] 라흐마니노프의 잃어버린 러시아
    [피아노 토크] 라흐마니노프의 잃어버린 러시아
    ‘피아노 토크’는 NTD 국제 피아노 콩쿠르의 예술 고문이자 심사위원인 저명한 피아니스트 자나라 카세노바(Jonara Khassenova)가 진행하는 NTD TV 시리즈 ...
    2022년 11월 18일 자나라 카세노바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1번 C장조 ‘발트슈타인’ | 나탈리아 지아나키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1번 C장조 ‘발트슈타인’ | 나탈리아 지아나키
    고전시대(1750~1820년) 마지막 장에 쓰여진 베토벤의 음악은 이어진 19세기 낭만시대 음악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그의 여정에서 흔히 '영웅'시기로 ...
  • [피아노 토크] 경연곡 ‘선(善)의 승리’…‘진・선・인(眞・善・忍)’에서 영감을 얻어
    [피아노 토크] 경연곡 ‘선(善)의 승리’…‘진・선・인(眞・善・忍)’에서 영감을 얻어
    ‘피아노 토크’는 NTD 국제 피아노 콩쿠르의 예술 고문이자 심사위원인 저명한 피아니스트 자나라 카세노바(Jonara Khassenova)가 진행하는 NTD TV 시리즈 ...
    2022년 11월 8일 자나라 카세노바
  • [피아노 토크] 신실함과 인간성을 보여주다, ‘영광의 왕국’
    [피아노 토크] 신실함과 인간성을 보여주다, ‘영광의 왕국’
    ‘피아노 토크’는 NTD 국제 피아노 콩쿠르의 예술 고문이자 심사위원인 저명한 피아니스트 자나라 카세노바(Jonara Khassenova)가 진행하는 NTD TV 시리즈 ...
    2022년 11월 4일 자나라 카세노바
  • 낫싱 엘즈 매터스 | 모차르트 히어로즈
    낫싱 엘즈 매터스 | 모차르트 히어로즈
    낫싱 엘즈 매터스는 미국 밴드 메탈리카가 1992년 발표한 곡입니다. 그래미 수상 8회의 전설적인 밴드 메탈리카는 1981년 결성되었으며, 네 ...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4번 C단조 | 크리스찬 블랙쇼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4번 C단조 | 크리스찬 블랙쇼
    모차르트는 고전시대(1750~1820년)를 대표하는 음악가로, 태어난 곳은 신성로마제국의 잘츠부르크(현재는 오스트리아 서부)입니다. 4~5세에 첫 작품을 완성했다고 알려졌으며, 그가 남긴 피아노 ...
  • 로미오와 줄리엣 러브 테마 | 첼로댁과 친구들
    로미오와 줄리엣 러브 테마 | 첼로댁과 친구들
    레오나드 화이팅, 올리비아 핫세 주연의 1968년 영화 로미오와 줄리엣의 음악으로 작곡가 니노 로타의 작품입니다. 다른 제목 A Time ...
  • [피아노 토크] 인간의 마음과 영혼에 맞닿은 쇼팽의 음악
    [피아노 토크] 인간의 마음과 영혼에 맞닿은 쇼팽의 음악
    폴란드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프레데리크 쇼팽은 폴란드 음악을 세계적 반열에 올린 천재 음악가입니다. 쇼팽은 유행을 따르기보다는 자신만의 스타일로 음악을 ...
    2022년 10월 16일 자나라 카세노바
  • [피아노 토크] ‘피아노의 시인’ 쇼팽
    [피아노 토크] ‘피아노의 시인’ 쇼팽
    “쇼팽이 피아노에 앉으면, 나는 연주의 기교적인 면은 전부 잊게 된다. 그리고 감미로운 심오함에 젖어 든다.” 폴란드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
    2022년 10월 13일 자나라 카세노바
  • 도메니코 스카를라티 건반 소나타 F단조 K466 | 알리사 사디코바
    도메니코 스카를라티 건반 소나타 F단조 K466 | 알리사 사디코바
    이탈리아 작곡가 도메니코 스카를라티는 555곡의 건반(주로 하프시코드)을 위한 소나타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1733년부터 스페인 마드리드에 머물며 마리아 바르바라 ...
  • [인터뷰] 바이올리니스트 신예 박규민 “연주 잘하는 것보다 음악을 사랑하는 예술인이 되고파”
    [인터뷰] 바이올리니스트 신예 박규민 “연주 잘하는 것보다 음악을 사랑하는 예술인이 되고파”
    바이올리니스트 박규민은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 재학 중 도미, 도날드 와이러스타인(Donald Weilerstein)을 사사하며 전액 장학생으로 뉴잉글랜드음악원 학,석사 과정을 졸업했다. ...
    2022년 10월 7일 이연재
  • 베르디 오페라 ‘일 트로바토레’ | 두브라브카 무소비치
    베르디 오페라 ‘일 트로바토레’ | 두브라브카 무소비치
    이탈리아 작곡가 주세페 베르디(Giuseppe Verdi)의 오페라 일 트로바토레(Il trovatore)는 1853년 로마 아폴로 극장에서 처음 공연됐습니다. 리브레토(극본)는 살바도르 카마라노의 ...
  • 베르디 오페라 ‘맥베스’ | 카타지나 홀리스
    베르디 오페라 ‘맥베스’ | 카타지나 홀리스
    이탈리아 작곡가 주세페 베르디(Giuseppe Verdi)의 오페라 맥베스(Macbeth)는 1847년 피렌체 페르골라 극장에서 처음 공연됐습니다. 리브레토(극본)는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의 작품입니다. ...
  • 바흐 – ‘샤콘느’, 바이올리니스트 김자람이 펼치는 인생의 여정
    바흐 – ‘샤콘느’, 바이올리니스트 김자람이 펼치는 인생의 여정
    서양음악의 아버지로 불리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는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이다. 신성하고 인간적인 음악을 남긴 바흐의 독주곡은 현악기 ...
    2022년 10월 6일 자나라 카세노바
  • 페루초 부소니의 손에 피아노곡으로 재창조된 ‘샤콘느’
    페루초 부소니의 손에 피아노곡으로 재창조된 ‘샤콘느’
    이탈리아에서 출생해 독일의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로 활동한 페루초 부소니는 바흐의 음악을 피아노곡으로 편곡해 더욱 유명세를 얻었다. 부소니는 솔로 ...
    2022년 10월 6일 자나라 카세노바
  • 비발디 사계 협주곡 4번 F단조 ‘겨울’  | 조슈아 갈라시
    비발디 사계 협주곡 4번 F단조 ‘겨울’ | 조슈아 갈라시
    이탈리아 작곡가 안토니오 비발디의 사계는 4개의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구성되어 1725년 발표됐습니다. 영상은 3악장 입니다. 바이올린: Joshua Galasse 오케스트라: ...
  • 플라이 미 투 더 문 | 베시스라바
    플라이 미 투 더 문 | 베시스라바
    미국 음악가 바트 하워드(Bart Howard)의 플라이 미 투 더 문은 1954년 쓰여졌습니다. 그가 처음 붙였던 제목은 In Other ...
TOP NEWS
  • 김정윤 한국드론교육협회 회장 “션윈, 현대인 정신적 고양에 필요”
    오전 5:18 션윈 특별취재팀
    김정윤 한국드론교육협회 회장 “션윈, 현대인 정신적 고양에 필요”
  • 박철종 경남 가수 협회 회장 “죽을 때까지 션윈을 볼 것”
    오전 5:17 션윈 특별취재팀
    박철종 경남 가수 협회 회장 “죽을 때까지 션윈을 볼 것”
  • 우연히 접한 ‘션윈’ 공연…“가족과 다함께 보고 싶어”
    오전 5:15 션윈 특별취재팀
    우연히 접한 ‘션윈’ 공연…“가족과 다함께 보고 싶어”
  • 고난도 동작에 연이은 박수갈채…“션윈, 높은 기량 무대 선보여”
    오전 5:14 션윈 특별취재팀
    고난도 동작에 연이은 박수갈채…“션윈, 높은 기량 무대 선보여”
  • 미국 솔로몬제도 대사관 30년만에 재개관, 남태평양에서 중국 영향력 차단 목적
    1일 전 최창근
    미국 솔로몬제도 대사관 30년만에 재개관, 남태평양에서 중국 영향력 차단 목적
  • 미 CIA 국장 “시진핑의 대만에 대한 야망 양안관계에 부정적 영향”
    1일 전 최창근
    미 CIA 국장 “시진핑의 대만에 대한 야망 양안관계에 부정적 영향”
  • 김희매 대한민국유권자총연맹 대표 “마음이 정화되는 느낌”
    1일 전 션윈 특별취재팀
    김희매 대한민국유권자총연맹 대표 “마음이 정화되는 느낌”
  • [지면중계] 양회 앞둔 시진핑, 가시밭길…치명적 3대 난관
    1일 전 차이나뉴스팀
    [지면중계] 양회 앞둔 시진핑, 가시밭길…치명적 3대 난관
  • 아트 스페이스 현희정 관장 “색감이나 선을 보며 영감 얻어”
    1일 전 션윈 특별취재팀
    아트 스페이스 현희정 관장 “색감이나 선을 보며 영감 얻어”
  • 박종호 마텍산업 대표 부부 “마음속 휴머니티를 일깨워준 공연”
    1일 전 션윈 특별취재팀
    박종호 마텍산업 대표 부부 “마음속 휴머니티를 일깨워준 공연”
뉴스레터
  • 광고/제보
  • 회사소개
  • 연락처
  • RSS 피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저작권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35개국 21개 어종
  • English
  • 中文
  • español
  • עברית
  • 日本語
  • 한국어
  • Bahasa Indonesia
  • Français
  • Deutsch
  • Italiano
  • Portugués
  • Svenska
  • Hollandske
  • Русский
  • Українська
  • Română
  • Česky
  • Slovenčina
  • Polskie
  • Türkçe
  • فارسی
  • 에포크TV
  • 프리미엄
  • 오피니언
  • 비주얼뉴스
    • 포토
  • 인터뷰
  • 로컬
    • 지역소식
    • 대학소식
    • 인사·동정
  • 에포크 이야기
    • 에포크 시론
    • 社說
    • 보도
    • 채용
  • 션윈
    • 내한공연
    • 월드투어
  • 정치
  • 북한
  • 경제
  • 사회
  • 국제
    • 미국
    • 중국
    • 아시아·일본
    • 유럽·러시아
    • 오세아니아·호주
    • 북미·중남미
    • 중동·아프리카
  • IT·과학
  • 아트·컬처
    • 공연·전시
    • 음악
    • 미술
  • 라이프
    • 디스커버리
    • 따뜻한 이야기
  • 연예·스포츠
  • 주제별
    • 파룬궁
    • 백신과 건강
    • 중공바이러스(코로나19)
    • 통일전선공작
    • 공자학원
    • 백지혁명
    • 장쩌민 사망
    • 강제장기적출
  • 심층기획
    • 차이나타운
    • 일대일로
    • 중국공산당 침투공작
    • 역대 주한 중국대사 列傳
    • 韓人음악가 정율성
  • 연재
    • 자유와 인권
    • 제4부 언론의 붕괴
    • 미국 건국의 원칙
  • 추천도서
    • 성공한 대통령이 되려면
    • 공산주의 유령은 어떻게 우리 세계를 지배하는가
    • 공산당에 대한 9가지 평론
    • 장쩌민 그사람
    • 전대미문의 사악한 박해
    • 공산주의의 최종목적
    • 당문화 해체
  • 제보
  • 후원하기
  • 광고문의
  • 연락처
  • 뉴스레터 구독
  • 앱 다운로드
(주)에포크미디어코리아 | 등록번호: 서울 아52015 | 등록일자: 2018.12.23 | 발행일자: 2018.12.24 | 제호: 에포크타임스 코리아(THE EPOCH TIMES KOREA) | 발행인/대표: 정기태 | 편집인: 추봉기 | 청소년보호책임자: 이시형 | 발행소(주소): (우)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101동 3403호(공덕동, 롯데캐슬프레지던트) | 발행소 전화번호: 02-732-8608 | 사업자등록번호: 101-86-80392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0-서울마포-0190호 | Copyright by (주)에포크미디어코리아 All rights reserved.
당사 사이트를 계속 사용하시면 귀하는 당사의 쿠키 사용,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동의하게 됩니다.정보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