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화웨이 인터넷 장비 및 기술이 안전 위험을 불러올 수 있다는 소식이 매체 지면을 뒤덮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중국 텐센트에서 개발한 위챗과 QQ 등의 SNS 플랫폼이 사용자에게 가져오는 잠재적 위험이 화웨이보다 심각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전 세계 사용자들과 정부는 전문가들의 제시하는 ‘8가지 대응책’을 참고함으로써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 워싱턴 싱크탱크 ‘프리덤 하우스의 동아시아 고위 연구원 사라 쿡(Sarah Cook)이 3월 26일 잡지 '더 디플로맷' 사이트에 논문을 게재해 그 위험성을 제기했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텐센트와 중국 당국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텐센트는 베이징의 요구에 순응해 자사 애플리케이션인 위챗과 QQ에 있는 정보를 광범위하게 검열하고 있다. 과거 1년간 베이징 당국은 해당 SNS 플랫폼에 대한 검열 규모를 눈에 띄게 확장해왔으며, 그 범위가 국내외 사용자 모두에게 미치고 있다.” 3월, 위챗 이용자 검열 두 차례 실시 사라 쿡은 논문에서 최근에 발생한 검열 사례를 언급했다. 3월 2일, 네덜란드 해커 빅토르 거버스(Victor Gevers)가 폭로한 바에 따르면 텐센트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의 대화 정보 수백만 개가 중국 각지의 경찰국에 전달됐다. 3월 16일, ‘중국관찰(中國觀察)’의 장천천(Chenchen Zhang)은 트위터를 통해 우려스러운 소식을 전했다. 한 위구르인이 중국-홍콩 변경에서 붙잡혀 사흘간 취조를 당했으며, 그 이유는 그의 위챗 연락인 명단 중 한 사람이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카에 다녀왔다는 내용 때문이라는 소식이었다. 베이징 당국은 이 위구르인에게 허가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메카에 가서 순례를 하면 15년 감옥형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 공산당의 민중 진압 행위에 대한 텐센트의 협조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이러한 검열 및 데이터 공유 규모 또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위챗 및 QQ 전 세계 사용자들은 지금 이 문제를 신중히 고려하고 자신의 기본권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을 취해야 한다. 텐센트, 검열 기능 강화 텐센트는 1998년 창립됐으며, 올해 1월까지 위챗의 활동 계정은 10억에 달했다. 텐센트는 창립 이래 중국 공산당의 엄격한 정보 검열을 준수하도록 압박을 받았다. 매체 보도와 전문가 연구에 따르면 위챗은 계속해서 검열 기능을 개선해왔으며, 인공지능을 활용해 민감한 이미지를 식별하고 삭제한다. 중국 누리꾼들은 이미지를 사용해 중국 공산당의 문자 검열 및 감시를 피하는 경우가 많다. 위챗은 권한을 부여받지 않은 뉴스 및 분석을 업로드했다는 이유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계정 수천 개를 폐쇄한 바 있다. 위챗, 사용자의 뉴스 정보 접근에 대한 자유 박탈 위챗은 검열 기능을 강화하며 중국 사용자들이 중요한 뉴스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하고 있다. 홍콩대학 위챗스코프(WeChatscope) 프로젝트 연구원들이 위챗에 의해 폐쇄된 약 4000개의 계정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2018년 가장 검열을 많이 받은 주제는 미중 무역전쟁, 화웨이 최고재무책임자 멍완저우(孟晚舟)의 캐나다 체포 사건, MeToo 운동, 그리고 공공 위생 스캔들과 관련된 내용이었다. 위챗, 각종 수단을 통해 계정 정보를 더욱 민첩히 검열 계정 검열 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하기 위해 위챗이 사용하는 방식에는 휴대폰 계정 실명 등록 요구 강화, 전자 지불 기능, 경찰의 스마트폰 스캐너 대량 구비, 그리고 공안기관의 정보센터 방문을 편리하게 하는 새로운 규칙 제정 등이 있다. 특정 상황에서 텐센트 애플리케이션의 내용은 ‘숟가락으로 밥 떠먹여 주듯’ 간단하게 경찰의 손 안으로 전달된다. 위챗 사용자 구금당해 감시 작업이 이렇게 잦아지고 간편해지자 위챗 사용자들이 부담해야 하는 위험 또한 더욱 커졌다. ‘프리덤하우스’ 소속 간행물 <중국 매체 속보(China Media Bulletin)>는 작년 다수의 위챗 사용자가 며칠에서 수년에 이르기까지 감금형을 당한 사건이 있었음을 밝혔다. 그 이유는 친구와 몰래 민감한 내용의 메시지를 주고받은 것으로, 여기에는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에 대한 조롱, 사법관에 대한 비판, 대규모 홍수 사건에 대한 평론, 중국 공산당의 인권침해 또는 박해 희생자(위구르족 무슬림, 티베트 불교도, 파룬궁수련생)와 관련된 견해 등이 포함됐다. 중국 공산당의 검열 및 징벌적 조치로 인해 일부 SNS 사용자는 자기검열을 할 수밖에 없게 됐다. 위챗 해외 사용자 증가 중국 사용자 외에도 위챗은 세계에서 약 1억 내지 2억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는 캐나다, 호주, 미국 등의 수백만 중국 교민이 포함돼 있다. 아시아에서 위챗 가입자 수는 점점 증가했다. 보도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에는 위챗 사용자가 2천만 명 존재하는데, 이는 말레이시아 총인구의 3분의 2 수준이다. 태국에서는 인구 17%가 위챗 계정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몽골에서 위챗은 2017년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횟수 집계 2위를 기록했다. 한 타이완 관료의 말에 따르면 텐센트는 최근 인기 뉴스 매체 Reddit을 1억 5000만 달러에 매입했으며, 현재 타이완 온라인 비디오 시장 진출을 고려하고 있다. 해외 위챗 사용자도 감시받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