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아마존에 가짜 상품 유통시켜 자유민주 진영 공격”

2021년 08월 21일 오전 9:58 업데이트: 2021년 08월 21일 오후 6:10

중국이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아마존을 활용해, 전 세계 자유민주주의 진영의 경제적 근간인 미국, 유럽, 인도, 일본의 기업과 비즈니스를 훼손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의 국제 정치 연구자인 앤더 코르는 에포크타임스에 중국이 강제노역으로 자국 기업의 부당한 경쟁력 행사를 조장·방관하고 이를 이용해 세계 시장을 교란하는 방식으로 사회주의 체제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르는 미국의 거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기업들이 사실상 이를 도왔다고 비판했다. 그는 “중국이 시장 경제를 망가뜨리는 과정에서 아마존 창립자 제프 베이조스는 오히려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며 베이조스가 1930억 달러(약 228조원)의 자산을 보유해 세계에서 두 번째 부자라는 점을 언급했다.

중국에서 두 번째 부자(2019년 포브스 발표 기준)인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 일가 역시 베이조스와 마찬가지로 전자상거래 업체를 일으켜 부를 축적했음은 공교롭다.

마윈 전 알리바바 회장은 최근 공개석상에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공산당의 눈 밖에 난 마윈 회장의 궁색한 처지는 한 기업가가 숱한 난관에 도전하며 얻어낸 성공이 권력의 변덕 앞에 언제든 남의 것으로 돌변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아마존은 미국 기업이지만 중국의 저렴한 상품 공급자에 의존해 거액의 부를 거머쥔 알리바바와 비슷한 길을 걷고 있다.

한 마케팅 조사업체에 따르면, 아마존의 상위 판매자 42%가 중국인 판매자다. 이들은 저가공세로 중소기업, 영세사업자들을 시장에서 쫓아내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경쟁자들이 퇴출되면 가격은 다시 시장가에 맞춰 올라간다.

코르는 “쫓겨난 사업자들 상당수는 미국의 중산층들이다. 미국의 소비자들은 잠시나마 저렴한 가격을 누리는 대가로 미국의 경제력이 파괴되는 비용을 치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명목상 국내총생산(GDP)은 지난 2020년 기준, 중국이 14조7천억 달러로 미국(20조9천억 달러)의 70% 수준이지만, 구매력으로 보면 달라진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구매력 기준 GDP를 보면, 중국은 경제적으로 미국을 이미 2017년에 넘어섰다. 미국 월가와 서방 금융기관들은 중국 투자라는 달콤함을 맛봤지만, 이제 거대해진 중국의 경제력은 시장 경제와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다.

전자상거래 시장데이터를 제공하는 ‘마켓플레이스펄스’에 따르면 지난 1월 아마존 신규 판매자의 75%가 중국에 거점을 둔 판매자였다. 아마존 미국 사이트에 등록된 중국 거점 판매자는 2019년 28%에서 올해 63%로 급증했다.

중국 판매자들의 공습은 미국 시장에만 머무는 현상이 아니다. ‘마켓플레이스펄스’는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아마존 사이트에서 판매량 상위권 50% 이상이 중국에 거점을 둔 판매자라는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들 국가의 온라인 유통시장에 아마존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스페인의 온라인쇼핑 시장에서 아마존의 시장 점유율은 15.7%로 2위 알리 익스프레스(4.4%)를 압도적 격차로 따돌리고 있다.

코르는 “다른 전자상거래 플랫폼에도 중국 판매자들이 입점해 있음을 고려하면 온라인 시장은 중국산이 최소 절반 이상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중국에서 전 세계로 퍼진 중공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역시 이 같은 추세를 부추긴 요인으로 지목했다.

그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세계 어느 나라의 주요 도시를 가도 문 닫은 상점을 발견할 수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 침체 혹은 확진자 발생 등을 직접적인 폐점 이유로 밝힌 상점도 드물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반면 감옥, 수용시설에서의 무임금 강제노동, 당국의 부실한 환경규제 등에 힘입은 중국 경쟁자들에 밀린 외국 상점과 업체들은 하나둘씩 사라지고 있다. 상점에 진열된 상품들은 원산지가 중국으로 표시된 물건들로 바뀌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아마존에서는 원산지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고 있다. 중국산 제품들이 아마존을 통해 전 세계 온라인 쇼핑시장에서 인기를 얻은 데에는 싼 가격 외에 아마존이 원산지 표시를 거부했다는 점도 적잖게 작용했다고 경제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이외에도 중국 판매자들은 가짜·위조 상품, 허위 광고, 지적재산권·저작권 침해, 관세 사기 등의 부당한 판촉행위도 중국산의 인기에 한몫했다.

지난 4월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아마존의 해외 사이트 5곳을 가짜·위조상품을 판매하고 있다며 ‘악랄한 시장’(vicious market) 목록에 포함시켰다.

앞서 지난 1월에는 루이비통 등 사치품 브랜드를 소유한 패션그룹 LVMH이 아마존을 강력하게 비난했다. 위조 루이비통 유통을 방관해 거액을 벌고 있다는 지적이었다. 베르나로 아르노 회장은 “아마존이 테러리즘을 간접 지원한다”고 격한 말을 쏟아냈다.

가짜 상품 판매시장으로 전락했다는 사실에 대해 아마존 역시 시인했다.

아마존은 지난 5월 위조품 판매 시도가 지난해 100억 건 이상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아마존은 2019년 위조품 판별 기술을 도입하겠다고 밝혔지만, 판매 시도는 전년보다 67% 증가해 줄어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사례금이나 물품을 지급해 높은 별점을 유도하거나, 판매량을 허위로 부풀린 업체 판매자 계정 5만개 이상을 삭제했다. 삭제된 계정 대부분은 중국에 기반을 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아우키’(Aukey) ‘아우타드’(Autad) ‘엠파우’(Mpow) ‘톰톱’(Tomtop) 등 전자제품을 포함해 중국산 브랜드 54개의 제품 수천 개가 아마존에서 사라지거나 구매불능이 됐다. 톰톱은 630만 달러의 자금이 동결됐다.

코르는 “이런 상황에서도 아마존은 중국 판매자들에게 원산지 표시를 의무화하지는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홍콩 매체 SCMP가 ‘아마존의 리뷰 단속 정책으로 업계가 큰 타격을 입었다’고 전했지만, 정책이 나오기 전, 신장위구르 강제노동으로 생산된 제품들이 아마존을 통해 이미 전 세계로 팔렸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스웨덴의 세계적 브랜드인 H&M가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 생산된 면화를 보이콧하는 등 국제적인 여론이 조성됐을 때만 해도 아마존은 충분히 비슷한 조치를 취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코르는 “아마존은 관련 제품을 취급하는 판매자를 퇴출시키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원산지 표시를 강화해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존중했어야 했다. 소비자들이 자신들이 지지하는 민주주의 체제를 선택한 국가의 제품을 소비하고, 윤리적으로 문제가 많거나 인권탄압에 연루된 지역의 제품을 피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야 했다”고 지적했다.

미국 소비자 단체도 “아마존은 위조 상품, 지식재산권을 침해해 생산한 제품에 대한 소극적인 대책으로 책임감 있게 행동하려는 생산업체와 소비자들에게 손해를 끼쳤다”고 비판하고 있다.

아마존이 늑장 대처하는 사이 유럽 국가들은 속도를 내고 있다. 영국과 유럽연합(EU) 규제당국은 오는 22일(현지 시각)부터 아마존 유럽, 영국 사이트에서 원산지 정보 표시를 의무화했다.

미국에서도 아마존을 포함해 전자상거래 플랫폼 업체들의 원산지 표시 의무화 법안이 추진 중이다. ‘미국 혁신 및 경쟁법안’ 패키지에 포함된 형태다.

아직 공화당과 민주당 사이에 논의가 진행 중이지만, 민주당 태미 볼드윈 상원의원이 주도하는 이 법안이 제정되면 기울어진 운동장이 바로잡히고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었던 영세소매업자들이 복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저항도 만만치 않다. 아마존을 포함해 강력한 로비력을 행사하는 대형 전자상거래 업체들과 전국소매협회, 소비자기술협회 등이 반대하고 있다.

이들은 원산지 표시가 의무화되면 전자상거래 업체와 소매업체가 판매 중인 상품마다 원산지 표시를 해야 하며, 또한 공급업체가 제공한 정보가 정확한지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책임을 떠맡게 된다는 이유에서다.

온라인 쇼핑몰 측이 제품 절반 이상을 중국산으로 들여놓은 상태에서, 소비자들이 원산지가 중국임을 알게 되면 구매하지 않을 것을 우려하고 있다는 게 업체들의 속내라는 지적도 나온다.

코르는 “거대 기업들은 싸지만 비윤리적이고 불법적인 제품들이 미국과 세계 시장에 넘쳐나는 것을 방관하며 이윤 창출을 유지하고 싶어 한다”며 “하지만 이제 기업의 책임과 소비자에 대한 의무, 자유시장 경제와 이를 뒷받침해 모두를 번영하게 하는 정치 체제, 민주주의를 지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르는 “하지만 중국이 주는 이익에 취한 대부분의 거대 기업들은 각성하지 못할 것이다. 이를 위해 소비자와 유권자들은 원산지 표시 의무화 법안을 지지하고, 자체적으로 원산지를 표시하는 기업들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선택”이라고 논평했다.

/한동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