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공급망 병목현상…희토류 확보 전쟁 다가온다

한동훈
2021년 10월 20일 오후 4:29 업데이트: 2022년 05월 28일 오후 7:44

미국, 호주와 손잡고 희토류 안보 확보에 주력

중공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촉발된 전 세계 공급망 병목현상이 가중되는 가운데, 미국과 동맹국이 희토류 생산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19일 ‘북미 핵심 광물의 날’을 맞아 로이터 통신은 미 국방부 공업정책 연구실의 다니엘 밀러 연구원을 인용해 “글로벌 공급망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채광산업을 강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밀러 연구원은 직접 중국을 겨냥하지는 않았지만, 이 발언은 세계 최대 희토류 생산국이자 희토류 등 자원을 무기화하고 있는 중국을 겨냥한 것이라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영국 매체 로이터가 보도한 바에 의하면, 해당 발언은 세계 최대 희토류 생산국인 중국의 지위를 겨냥한 것이며, 공사(公私) 합작 채광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했다. 희토류는 무기용 자석과 전기차용 자석 등 전략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17가지 광물이다.

희토류는 자동차, 컴퓨터, 휴대전화 등 첨단기술 부품 제조에 핵심원료로 사용되며 무기용 자석 등 군사장비 생산에도 필수적인 리튬, 세슘, 토륨, 아르곤 등 17가지 광물이다.

미 국방부는 이미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에 대비해 지난 2월 호주 희토류 업체 리나스(Lynas Rare Earths)에 3040만 달러(약 359억원)를 투자해 텍사스주에 희토류 처리 가공시설을 짓기로 한 바 있다.

리나스는 호주 서부 광산에서 채굴한 희토류를 운송해, 텍사스 공장에서 처리할 계획이다.

희토류는 채굴 및 가공 과정에서도 방사능 오염수 등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일정 수준의 환경, 근로조건을 보장해야 하는 선진국에서는 수용하기 어렵다. 중국은 느슨한 환경기준을 이용해 희토류 강국으로 군림해왔다.

그러나 미 국방부는 국가안보 차원에서 이러한 상황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 텍사스의 광범위한 부지를 활용해 본토에서 직접 희토류를 가공하기로 한 것이다.

밀러 연구원은 “핵심 원료를 전략적으로 자국 내에서 생산하는 것은 해외 공급망의 비시장적 고의 개입에 따른 위험성을 대비하기 위한 최종적 조치”라며 국방부의 결단을 높게 평가했다.

이는 중국이 미국에 대한 희토류 수출을 제한하고 있거나 제한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밀러 연구원은 희토류 안보를 위해서는 산업 환경기준 준수와 원가 절감 등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미국의 채광 산업 환경기준은 세계에서 가장 엄격한 편”이라며 동맹국의 광업 기업을 지원해 희토류의 시장성도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희토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도 산업 안보 차원에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지난 6월 발표한 ‘우리나라와 주요국의 희토류 공급망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전기차, 풍력발전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네오디뮴 영구자석의 경우 중국 수입 비중이 88%에 달해 중국 의존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에서는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희토류의 안정적인 조달을 위해 역내 공급망 구축에 사활을 걸고 있다며, 한국도 희토류 원료 확보와 공정기술 개발, 비축 등 자체적인 공급망 구축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다만, 희토류 공급망 구축을 한 국가에서 모두 해결하기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은 데다 이미 중국이 가격 결정력까지 장악해 미국, 유럽, 일본 정부 및 민간기업과의 국제공조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 에포크타임스는 세계적 재난을 일으킨 코로나19의 병원체를 중공 바이러스로 부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