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위 “中원전 배출 삼중수소, 日후쿠시마 50배”

한동훈
2023년 06월 8일 오후 1:36 업데이트: 2023년 06월 14일 오후 1:59

中 원전 사고시 편서풍 타고 국내 유입 가능성
전문가 “중국 원전 관리에 관심 가져야”

현재 원전 55기를 가동 중인 중국의 연간 삼중수소 배출량이 일본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 방류 제한치의 50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따르면, 중국이 2021년 발간된 ‘중국핵능연감’을 분석한 결과 중국 전체 원전에서 2020년 배출한 삼중수소 총량은 1054테라베크렐(T㏃)을 기록했다.

이는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를 처리해 방류할 때의 연간 배출량 제한 기준인 22T㏃의 약 47.9배에 달한다. 현재 가동 가능 원전 22기, 작년 이용률 81.5%인 한국의 작년 배출량인 214T㏃과 비교해도 4.9배 많다.

일본은 후쿠시마를 제외하고도 기존 원전에서 삼중수소를 배출한다. 2019년 연간 배출량은 175T㏃이었으며 원전이용률은 20.6%였다.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 이전인 2010년(370T㏃)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다. 후쿠시마 방류가 시작되더라도 일본 전체 원전의 연간 배출량은 한동안 200T㏃ 이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배출량과 비교하면 5분의 1 이하다.

중국의 연간 삼중수소 배출량은 급속하게 늘고 있다. 2010년 215T㏃에서 2018년 832T㏃, 2019년 907T㏃을 나타냈다. 참고로 미국은 2019년 기준 1714T㏃, 캐나다는 2020년 기준 1831T㏃이다.

게다가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원전을 확장하고 있는 국가다. 세계원자력협회(WNA)가 조사한 결과 올해 5월 기준 중국에서 건설 중인 원자로만 23기로 전 세계 건설 중인 원자로 59기의 40%를 차지한다.

또한 건설 예정인 원자로는 45기로 두 번째인 러시아(25기)의 2배 규모다. 블룸버그 통신의 지난 2021년 11월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2035년까지 150기의 원자로를 추가하려 한다. 같은 기간 다른 국가들이 계획한 35기에 비해 압도적 규모다.

중국은 원전 기술과 함께 핵폐기물 처리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원전 규모가 늘면서 삼중수소 배출량도 늘어갈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중국 원전은 대부분 동부 연안과 남동부 연안에 집중돼 있다. 중국이 현재 건설 중인 원전도 한국과 가까운 랴오닝성과 산둥성에 자리 잡고 있다. 산둥반도 끝에 위치한 스다오만 원전은 서울에서 직선거리로 약 400km 지점에 있다.

중국은 해당 지역의 경제 활동이 활발해 전력 수요가 높다는 이유를 들지만, 원전 사고 발생 시 영향권에 들 수 있는 한국으로서는 신경이 쓰이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다.

삼중수소가 아니더라도 중국 원전에서 방사능 누출 사고가 발생하면 편서풍을 타고 미세먼지와 함께 한반도로 넘어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홍콩 언론들도 중국 원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 2021년 4월에는 홍콩에서 130km 떨어진 타이산 원전 1호기에서 가스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중국 당국은 방사성 누출은 없었다고 발표했지만, 미 CNN은 해당 발전소를 운영하는 프랑스 회사 프라마톰의 메모를 입수해 중국이 발전소 폐쇄를 막기 위해 주변 지역의 방사능 누출 허용 한계를 상향했다고 보도했다.

일부 전문가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처리수가 한국 해역에 5~7개월 만에 도달한다고 주장하지만, 정부는 4~5년 후 유입되기 시작해 10년 후에는 국내 해역 삼중수소 평균 농도의 10만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다고 반박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1일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며 국내에 미칠 영향력이 미미하다고 밝혔다.

다른 전문가들은 방사능 물질의 한반도 유입을 걱정한다면 일본 후쿠시마보다 중국 원전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정동국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역시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후쿠시마 사고가 난 이후 우리 근해에서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하고 있지만 수치 변화가 없다”며 “오히려 중국 원전이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는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전했다.

중국 원전은 기술적 수준보다 당국의 관행이 더 문제라는 경고도 나온다. 누군가 불합리한 일을 지적하면 문제점을 수정하기보다 문제를 제기한 사람을 처벌하는 공산당식 처리방식이 오랜 세월 이어져 왔기 때문이다.

중국 문제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초기 대응에서 노출된 중국 공산당 당국의 불투명성, 정권에 불리한 일을 은폐하는 모습을 목격했다며 원전 관리에도 주변국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