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 본격화하나…정부, 내년 성장률 1%대 전망 검토

이윤정
2022년 11월 28일 오후 1:11 업데이트: 2022년 11월 28일 오후 1:11

국내외 주요 기관, 韓 성장률 1%대 예측
국제금융협회 “내년 글로벌 성장률, 금융위기 직후 수준”

정부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대로 하향 제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1월 2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다음 달 내년 경제정책방향과 경제전망을 발표할 예정이며, 성장률 전망치를 1%대로 내리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정부는 지난 6월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 발표에서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제시한 바 있다. 그간 정부는 내년도 경제 성장률을 잠재성장률을 웃도는 2.5%로 전망해왔다.

하지만 그새 국내외 경기가 악화하고 물가상승 등 세계 경기둔화 흐름이 이어지면서 성장률 전망치는 하향 조정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내년 세계 경제가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국내외 주요 기관은 이미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대로 내려 예고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수출 악화, 금리 인상 등의 여파를 고려해서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 24일 발표한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2~2023년’ 보고서에서 내년 경제성장률을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1.9%로 전망했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Fitch Ratings)도 1.9% 전망치를 제시한 상태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2023년 경제산업전망’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내년 반도체 수요산업이 부진할 것”이라고 예측하며 내년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1.9% 수준으로 전망했다.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내년 한국 경제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관측하며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지난 9월 발표한 2.2% 전망치보다 0.4%p 낮은 1.8%로 내려 잡았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도 내년 한국 경제가 1.8%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고,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역시 1.8% 전망치를 제시했다.

한국은행은 지난 24일 금융통화위원회가 발표한 ‘경제전망’을 통해 내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1.7%로 0.4%p 낮췄다. 이는 IMF(2.0%)나 OECD의 전망(1.8%)보다 더 비관적인 수치다.

그간 국내 경제가 1%대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은 △1980년 오일쇼크 △1998년 외환위기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등 네 번의 ‘위기’ 때였다.

이 같은 성장률 악화에는 최근의 수출 부진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나라 무역적자가 8개월째 이어지면서 한국 경제의 근간인 수출도 흔들리는 상황이다. 지난 4월 무역수지가 23억57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5월(-15억4000만 달러), 6월(-24억5700만 달러), 7월(-50억8500만 달러), 8월(-94억100만 달러), 9월(-38억1500만 달러), 10월(-66억9800만 달러)까지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20일까지의 무역수지는 44억18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해 이달 20일까지 연간 누적 무역적자는 399억6800만 달러에 달한다. 원유·가스·석탄 등 에너지원 수입 증가가 주된 원인으로 파악됐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3일 1차 수출전략회의를 직접 주재하면서 글로벌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해법으로 ‘수출 증진’을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세계 경제 전망도 어둡기는 마찬가지다. 전 세계적으로 통화 긴축 정책이 강화되는 가운데 에너지 문제 등으로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제금융협회(IIF)는 11월 24일(현지 시간) 보고서를 통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2%로 제시했다. 블룸버그 통신 보도에 따르면 국제금융협회(IIF)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전 양상을 보이면서 내년 세계 경제가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수준의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에 미치는 심각성의 정도는 원칙적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의 향방에 달려 있다”며 “기본전제는 이 전쟁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존립과 관련된 것이어서 2024년까지 계속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