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윤리학자 “‘인간 개조’ 기술, 의학이 아닌 우생학”이라 비판

김연진
2023년 04월 22일 오전 10:24 업데이트: 2024년 01월 19일 오후 2:14

과학기술로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개선하려는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이 ‘우생학(優生學)’과 다름없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우생학은 인류를 유전학적으로 ‘개량’할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에 따라 인간 유전자의 우월성과 열등성을 규정하고 통제하려고 한다. 우생학적 관점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억압하는 전체주의 이데올로기의 사상적 근거로 변질됐다.

최근 공개된 에포크TV 다큐멘터리 ‘인간 개조: 생명공학은 우리를 어떻게 바꾸고 있나’는 생명공학과 인공지능 기술 발달에 따른 부작용과 문제점을 조명했다.

윤리 및 공공정책 센터 ‘생명윤리와 미국 민주주의 프로그램’ 책임자이자 의사인 애런 캐리어티는 “생식 통제는 트랜스휴머니즘(인간 개조)의 핵심적인 특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체외수정 기술 등을 유전자 편집 혹은 다른 유전학적 기술과 결합하면, 우리가 ‘최적’이라고 생각하는 인간 배아를 선택하고 어떤 의미에선 인간 이상으로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런 방식의 개입은 아이가 일종의 재산이나 소유물이라는 생각에까지 이르게 한다”며 “이는 근본적으로 통제, 우생학, 인간 개조 운동에 관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 “결국에는 어떤 인간이 다른 인간을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변질될 우려가 있고, 그것이야말로 근본적으로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변호사 겸 생명윤리학자 콘세타 더들리 | 에포크TV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부교수를 맡고 있는 변호사 겸 생명윤리학자 콘세타 더들리도 “유전자 편집은 우생학처럼 악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중국에서는 그런 일이 실제로 벌어지고 있다”며 “중국에는 생명윤리학적 규칙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런 실험이 잘못되더라도 아무 걱정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중국 같은 나라들은 인간을 쓰고 버릴 수 있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일갈했다.

이처럼 전문가들은 유전자 편집, 인간 개조 등 생명공학 신기술이 인간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개인의 권리를 완전히 통제하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인공지능 기술까지 더해지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생명공학과 인공지능의 악용이 독재와 전체주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이와 관련해 콘세타 더들리는 “인공지능이 꼭 우리에게 중립적인 건 아니다. 인공지능도 편향될 수 있다”며 “누가 프로그래밍을 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고 의견을 더했다.

또 “소셜 미디어에 게시물을 올렸다가 알고리즘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검열당하거나 쫓겨나는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Clinical Research Strategies’ 대표 겸 최고운영책임자 알리시아 윌랜드 | 에포크TV

‘Clinical Research Strategies’ 대표 겸 최고운영책임자 알리시아 윌랜드는 “저는 이것이 공산주의와 공통점이 있다고 본다. 진정한 전체주의의 모습”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의 개인정보를 쥐고 있는 빅테크 기업들은 알고리즘에 ‘부적합한’ 주장을 하는 사람들을 탄압하고 검열하고 있다”며 “마치 1930년대 나치 독일이 반복되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또 “지금 생명공학계에서는 다양한 기술의 합성이 일어나고 있고, 빅테크 기업들과 연계해 수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고 본다”며 “데이터에 기반한 신기술이 사람을 제재하는 데 쓰일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듀란 벤처스’ 대표 피터 블레이니는 “진실이 억압받는 건 일정 시간 동안뿐이라고 생각한다”고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했다.

그는 “우리가 겪어온 많은 정보와 토론의 탄압은 모두 일시적인 것일 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2부 영상>

*3부에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