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책임 인정 않고 공격적 외교…전 세계 반중 기류 확산

캐시 허
2020년 05월 4일 오후 3:28 업데이트: 2020년 05월 4일 오후 9:19

세계 각국에서 신종 바이러스(중공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중국 책임론이 커지고 있다. 중국 정권의 공격적 외교에 대한 역풍도 거세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 캐나다 등 각국 정부는 중국에 손해배상을 요구하고 중국과의 관계를 재설정하고 있다. 사태 초기에 심각성을 제대로 알리지 않아 피해를 키웠으면서도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3일(이하 현지시간) “중국이 바이러스의 심각성을 알고 있었지만 의도적으로 은폐했다”며 “중국이 세계를 감염시키고 수준 이하의 연구소 운영을 해왔음을 전 세계가 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호주는 지난달 중공 바이러스 발생 기원에 대해 독자적인 조사를 수행하겠다고 밝혔고, 독일과 영국은 중국 IT기업 화웨이 장비도입이나 자국 내 사업에 대해 재검토하고 있다. 영국 도미니크 랍 외무장관은 “중국과 예전 관계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들 중국 외교부나 해당국에 주재하는 중국 외교관들은 오히려 트위터 등에서 공격적인 발언을 쏟아내며 맞섰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보은폐 지적에 “중국을 희생양으로 삼는다”고 부인했고, 자오리젠(趙立堅) 대변인은 “미군이 신종 바이러스를 우한에 가져왔을 수 있다”며 ‘미군 음모론’을 펼쳤다.

청징예(成競業) 주호주 중국대사는 호주가 바이러스 발생 조사방침을 물리지 않을 경우 중국인 유학생과 관광객의 호주 방문이 끊길 수 있으며 호주산 제품 불매운동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해 호주 관리들의 격렬한 반감을 샀다.

마스크 등 중국산 의료물품의 기준미달 품질 논란이 일었던 스웨덴, 독일, 네덜란드, 일본, 싱가포르, 페루에서는 중국 외교관들이 현지 언론과 설전을 벌였다.

프랑스, 카자흐스탄, 나이지리아, 케냐, 우간다, 가나, 아프리카 연합(AU) 등 최소 7개국에서 주재 중인 중국 대사를 초치해 가짜뉴스 유포와 중국 광저우(廣州)에서 일어난 일부 아프리카인 차별에 항의했다.

또한 독일, 폴란드와 미국 일부 주에서도 중국 대사관 측이 현지 정부와 대기업에 방역과 관련해 중국에 감사의 뜻을 밝히도록 종용한 사건이 보고됐다.

이러한 중국 외교관의 공격적 행보에 대해 2015년과 2017년 각각 유행한 중국 영화 ‘전랑(戰狼·늑대 전사)’에 비유해 전랑식 외교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랑은 중국 특수부대 출신 주인공이 해외에서 자국민을 구출한다는 내용이다.

대화와 타협을 강조하는 외교계에서, 중국 정권이 전랑식 외교로 전략을 바꾼 것은 각국 외교관들을 해외에서 중국을 위해 싸우는 전사 이미지로 포장해 민족주의와 애국심을 자극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그러나 ‘미군 음모론’, 방역은 중국 공산당식 중앙집중 구조가 유리하다는 ‘체제의 우월성 선전’, 심지어 세계를 위해 중국이 시간을 벌어줬다는 식의 ‘세계가 중국에 감사해야 한다’는 황당 주장까지 내세우는 전랑식 외교는 국제사회의 반감을 일으키며 중국의 고립을 유발하고 있다.

워싱턴에 있는 싱크탱크 헤리티지 재단의 헬레 데일 공공외교 담당 선임연구원은 에포크타임스에 ”중국 정권이 수십 년간 휘둘렀던 경제적 압박은 이제 더는 안 통할 것 같다”며, 팬데믹 위기에 직면해 세계 각국은 협력을 통해 중국에 맞서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