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개편이 중요”…미래 혁신기술 인력양성, 산·학·연 협력이 관건

이연재
2022년 09월 25일 오전 8:11 업데이트: 2022년 09월 25일 오전 10:20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촉발된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 흐름은 우리 사회의 구조 전반에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에 따라 세계 각국은 디지털 기술 경쟁력을 갖추고, 시장 수요와 산업구조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8월 22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발표했다.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이 빠르게 재편되고, 디지털 인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인력 양성과 교육을 집중 강화하겠다는 정책 방향을 담고 있다. 특히 2026년까지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을 목표로 범부처가 맞춤형 정책을 추진하고, 디지털 인재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정보교육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국회 디지털 혁신과 미래 포럼(이하 미래포럼)은 지난 22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디지털 인재양성의 실질적 주체인 산·학·연 전문가들과 ‘국가 미래 혁신기술 산업 인력양성 방안 마련’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미래 포럼 공동대표 박대수 의원은 환영사를 통해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신기술 분야의 인력 부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며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장 그리고 전문가의 목소리 청취를 통한 수요 파악과 이를 바탕으로 한 제도 및 정책 개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자리에서 논의된 내용들을 추후 정책에 반영해 혁신기술 산업의 인력 양성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기술전문가의 역량, 산업 수요에 미쳐

이날 토론회의 주요 화두는 ‘디지털 기술력이 곧 SW 인재 역량’이라는 것이다. 간단해 보이는 논리이지만, 문제는 그런 인재를 확보할 수 있느냐다. 많은 기업들이 디지털 전환의 가장 큰 걸림돌로 인재 확보를 꼽았고, 실제로 국내 AI인력 부족 규모는 2021년 기준 14,514명으로 전년 대비 만 명 증가한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AI 인재 영입을 위한 글로벌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송대섭 네이버 책임리더(Agenda Research 센터장)(좌)와 김왕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사업단 단장(우) | 에포크타임스

송대섭 네이버 책임리더(Agenda Research 센터장)는 “디지털 전환에 따라 직업의 요구 능력이 변화하고 있지만, 기업과 구직자 간 역량 및 전공의 미스매치로 그 수요를 채우지 못하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민관 협력 기반 소프트웨어 인재양성 대책 (출처 전국경제인연합회)’ 자료에 따르면 매출액 500대 기업의 신규 채용 계획 인원 중 61%는 이공계열 졸업자가 차지한 반면 대학 졸업생 중 이공계열은 37.7%에 불과하다. 또한 시장 수요에 맞춘 대학 교육 수준이 전 세계 64개국 중 한국은 47위를 기록,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능력에 비해 인력의 능력이 부족하고, 그로 인해 관련 직군에 대한 진입장벽이 높다.

송 책임리더는 주요국 대비 한국의 AI 기술 격차는 AI가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실생활에 융합됨에 따라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송 책임리더는 ▲학과 정원 규제 완화 고려 ▲ IT 전공 대체복무 제한 재고(AI 첨단 분야의 석사급 전문연구요원 대체복무 축소 방침 재고) ▲연구개발 세액 공제 인정 비중 확대 등 조세 지원제도 개편 등을 제안했다.

김왕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사업단 단장은  송 책임리더의 제안에  동의하면서 “다만 학과 정원 규제 완화의 혜택이 수도권에 집중되지 않도록 정부 관련 기관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김 단장은 “연구개발 인력 양성도 중요하지만 산업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업체 인력 공급에도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며 “현장 인력을 어떻게 양성할 것인가도 중요한 과제”라고 덧붙였다.

디지털 인재양성 전략, 다각화로  ‘선택과 집중

이날 토론회에서는 산업계가 필요한 고도의 역량을 보유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쪽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는 데 입을 모았다. 산·학·연이 얼라이언스를 형성하고 ‘디지털 선도 국가’라는 큰 목표를 위해 전략을 다각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송대섭 네이버 책임리더(Agenda Research 센터장)(좌)와 김왕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사업단 단장(우) | 에포크타임스

최성현 삼성 부사장(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은 “중장기 로드맵 기반의 정부, 기업, 교육 기관의 전략적 협업이 필요하다”면서 그룹 내 ‘미래기술육성재단’과 ‘미래기술육성센터’를 소개했다. 최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계약학과와 각종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가동, 전문 인력 양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연세대·KAIST·포스텍 등 계약학과를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학 역시 5대 산업(반도체, 바이오, 그린에너지, AI·디지털, 미래모빌리티) 중심의 인재 육성을 강조했다. 심헌 한국폴리텍대학 교수는 5대 산업의 인재를 육성을 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편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심 교수는 미국의 미래 핵심 신기술을 소개하면서 기술인력양성 추진 전략으로 ▲반도체, 저탄소, AI+x 분야 학과 등  미래 산업에 대한 학과 신설 개편 ▲전국 40개 캠퍼스 활용, 공동·교차 통합 교육 체계 구축 ▲기업 수요에 따른 고등 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수준별 과정 운영 ▲산업 및 지역에 적합한 취업 연계형 학과 운영 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