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플 이어 아마존까지…소셜앱 ‘팔러’ 견제 “서버 폐쇄”

한동훈
2021년 01월 10일 오후 8:47 업데이트: 2021년 01월 10일 오후 9:23

아마존이 최근 트위터 대안으로 떠오른 소셜미디어 팔러(Parler)의 서버를 10일 자정(현지시각) 폐쇄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팔러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 존 매츠는 9일 성명을 내고 아마존이 이 같은 방침을 통보해왔다며 “인터넷에서 언론의 자유를 완전히 없애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아마존은 왜 이런 결정을 내렸나

온라인 쇼핑몰로 유명한 아마존은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 중계업체이자 웹호스팅,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업체이기도 하다. 아마존 웹서비스(AWS)사업부를 두고 있다.

아마존은 팔러가 서비스 약관을 반복적으로 위반했다는 이유를 든 것으로 알려졌다.

팔러에 보낸 이메일에서 아마존은 폭력을 선동하는 게시물 가운데 98개를 사례로 들며 “최근 귀사의 웹 사이트에서 폭력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 모든 것은 AWS의 조항을 위반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팔러가 사이트에서 어떤 콘텐츠를 허용할 것인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존중하지만, 타인에 대한 폭력을 조장하거나 부추기는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식별해 제거할 수 없는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대안’ 팔러는 어떤 회사인가

아마존의 이번 조치는 애플과 구글 등 빅테크 기업들이 팔러에 대해 “폭력적인 콘텐츠에 느슨하게 대처한다”고 비판하며 앱마켓에서 차단한 상황에서 나왔다.

구글은 팔러가 “불쾌한 콘텐츠를 제한할 의사가 없어 보인다”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용 앱스토어인 플레이스토어에서 삭제했다. 애플도 9일 앱스토어에서 팔러를 내렸다.

팔러는 ‘말하다’(speak)라는 뜻의 프랑스어다. 2018년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SNS를 주장하며 설립됐다.

최근 들어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해 보수성향 인사들을 검열하던 트위터, 페이스북에 반발한 이용자들이 대거 넘어가면서 급작스럽게 덩치를 키우며 대안 SNS로 발돋움했다.

전통적인 자유민주주의 성향 혹은 보수성향의 사용자들의 열렬한 지지를 얻고 있다.

팔러 측의 입장과 향후 대책은?

지난 6일 미국 워싱턴DC에 집결한 트럼프 지지자들이 집회 관련 정보 등을 팔러를 통해 주고받자, 이틀 뒤인 8일 팔러를 향한 구글·애플 등 거대 기술기업들의 집중적인 견제가 시작됐다. 여기에 다시 아마존까지 가세한 형국이다.

팔러의 CEO 존 매츠는 이런 사태를 어느 정도 예견한 듯 “아마존의 인프라에만 의존하지는 않고 대안적인 환경을 구축해 이런 상황을 대비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와 사업하려고 경쟁하는 업체는 많다. 가장 좋은 서비스 제공업체를 선택하려 한다”면서도 “현재 서비스 재구축 작업을 진행 중에 있으므로 최대 1주일 정도 사용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매츠 CEO는 이 같은 빅테크 기업들의 결정이 시장경쟁을 차단하려는 합동공격으로 보고 있다. 그는 “우리가 너무 빨리 성공하긴 했다”며 빅테크 기업들을 향해 “표현의 자유 보장과 시장경쟁을 계속 보게 될 것이다. 하지만 우리를 제외시켜선 안된다”고 꼬집었다.

Epoch Times Photo
아마존 로고 | Abhishek N. Chinnappa/File Photo/Reuters=연합

기득권 빅테크 VS 신흥강자 팔러

팔러가 다른 서비스업체로 옮겨갈 수 있는데도, 아마존이 이렇게 강하게 나오는 이유에 대해 매츠 CEO는 두 가지를 제시했다.

하나는 신규 경쟁업체에 대한 압박이다. 그는 “아마존이나 구글, 애플이 이렇게 손잡고 나오는 건 우리의 선택지를 줄이기 위해서”라고 했다.

다른 하나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공격이다. “그들은 빅테크 기업이 최근 차단한 트럼프 대통령에게 가장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다는 걸 알고 의도적으로 이렇게 한다”고 메츠 CEO은 전했다.

팔러를 겨냥한 빅테크의 집중 견제는 트위터 등 실리콘 밸리 기업들이 콘텐츠 서비스를 넘어서 콘텐츠를 심사·검열하는 일종의 언론권력 기관으로 변질한 흐름과 관계됐다.

트럼프 대통령과 자유민주주의 세력, 보수주의자들 혹은 빅테크와 다른 입장에 선 목소리들이 궁극적으로 빅테크의 이익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트위터는 8일 트럼프 대통령의 계정을 영구 폐쇄하면서 폭력 미화 금지정책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선 캠프 계정도 삭제했다.

빅테크가 팔러 합동견제에 나선 배경

이런 조치는 직접적으로 지난 6일 미 국회의사당 난입사건에 기인하고 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해온 통신품위법 230조 폐지 움직임에 대한 저항이 깔려 있다.

아마존과 애플, 구글은 팔러가 사용자 콘텐츠에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비난했지만,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기존 SNS는 통신품위법 230조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면책특권’을 토대로 성장해왔다.

이 법은 SNS 플랫폼 업체들은 사용자가 올린 콘텐츠에 책임을 면하도록 해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산업 성장 초기, 업체들이 어려움 없이 성장할 수 있도록 마련된 조항이다.

그러나 이제 SNS 플랫폼 업체들이 기존 언론을 능가하는 권력을 확보하게 되면서, 이 법이 오히려 무분별한 검열 권력 남용의 빌미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한 기존 언론은 콘텐츠에 대한 책임으로 인해 어느 정도의 견제와 균형이 이뤄지지만, SNS 빅테크는 이런 최소한의 견제마저 받지 않는다는 형평성 논란도 일고 있다.

특히 트위터가 트럼프 대통령의 계정을 영구 폐쇄하면서,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벤 카슨 미 주택도시개발부 장관,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니키 헤일리 전 유엔대사 등은 트위터의 일방적 조치를 중국 공산당의 행보에 비유했다.

헤일리 전 대사는 “꼭 대통령을 예로 들 필요도 없다. 사람들을 침묵시키는 일은 우리나라가 아니라 중국에서나 일어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카슨 장관도 자신의 SNS에 “트럼프의 계정을 차단하고 싶겠지만, 이번 행정부와 역사를 조명한 대통령 계정을 삭제한 건 잘못된 일”이라며 “우리는 중국에 있는 게 아니다”라고 썼다. 그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검열도 비판했다.

한편, 애플은 이번 조치와 관련한 에포크타임스의 논평 요청에 즉각 응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