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법률전문가 한홍대 (韓洪大) 씨.@최승일 기자 |
[대기원]23일 서울에서의 두 번째 공연을 본 법률전문가 한홍대 (韓洪大) 씨는 공연에서 북춤의 파워가 역동적으로 느껴졌다며 첫 말문을 열었다. “대당고리”와 “위풍전고”에서 나온 북을 치면서 춤을 추는 장면에서 강한 기백을 느꼈다고 했다.
한 씨는 또 “쾌자무”의 젓가락춤에서 “옛날 징기스칸의 후예로서 기백이 느껴지고 전체적으로 의상이 화려하고 역동성이 있다”고 느낀 바를 전했으며 “규모가 대국이기에 커다란 느낌이 들고, 또 우리 인식에 몽골하면 과거에 오랑캐 문화 이런 느낌이 들었는데, 이제는 우리와 문화가 교류될 수 있는 과거의 뿌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아울러 중국을 좀 알게 됐다는 게 좋았다.”고 덧붙였다.
한 씨는 프로그램 외에 사회자의 진행이 너무 재치있었다며 “재미있게 진행해서 좀 더 공연을 흥미롭게 해줬다.”며 웃으며 말했다.
신운스펙태큘러 공연의 후원사인 NTDTV의 사장과 안면이 있어서 공연을 보러 왔다는 한홍대 씨는 한번 이 공연을 다시 보고 싶다며 아쉬움과 함께 기대감을 드러냈다.
![]() |
▲ 주영혜, 권유미 씨@최승일 기자 |
“현대 중국의 모습, 현실성 있게 다가와”
중국인 친구의 소개로 공연을 보러 왔다는 주영혜, 권유미 씨(회사 직원)는 프로그램 각성(覺醒)에서 여자 아이가 진선인(眞善忍)이 써진 현수막을 펼치자 악당이 이들을 폭행하는데, 공원의 시민들이 이를 방관하지 않고 대응하는 장면을 말하면서 “현대사회랑 맞는 것 같아서 와닿았다. 지금까지 중국 전통문화만 보다가 지금의 중국을 보는 것 같아서 색달랐다.”고 밝혔다.
이들은 “몽골 춤에서 옷이 너무 예쁘고 사발이 머리에서 안 떨어지는 것도 신기하다.”고 하면서 “중국의 전통 문화를 짤막짤막하게 단편으로 보여주니깐 지루하지 않고 눈이 더 가는 거 같다.”고 언급했다. 또 주 씨는 “보통 중국 공연하면 서커스와 기예 공연 같이 인간의 극한을 보여주는 것이 많은데 반해 이 공연은 문화적으로 접근하는 것 같다.”며 기존 중국 공연과의 차이점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