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권, 이란 이용해 인도-태평양에서 트럼프 방해”

페니 저우
2020년 01월 16일 오전 9:00 업데이트: 2020년 01월 16일 오전 10:49

미국과 이란 간 분쟁이 심화된 시기 중국의 반응이 둔화된 듯 보이지만, 중국 정권은 트럼프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집중 전략을 방해하기 위해 이란을 이용하고 있다는 전문가의 견해가 나왔다.

미국이 이란의 군 지도자 솔레이마니를 살해한 뒤 중동의 또 다른 핵심 플레이어인 중국의 반응은 그다지 눈에 띄지 않았다. 중국 정권은 ‘전쟁으로 확대 아닌 대화’를 요구했다.

그러나,  조셉 미 국방부 전 안보 보좌관은 중동에서 중국의 행보가 말처럼 순수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의 지원이 최근 이란 도발의 큰 요인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고 추측했다.

미국 NTD와 인터뷰에서 보스코 전 보좌관은 “세계 여러 곳에서 미국이 대처해야 할 위기가 더 많을수록, 중국에 전략적 이익에 더 많다”고 말했다.

중국 정권은 이란과 긴밀한 무역 수교를 맺고 있다.

미국이 이란에 원유 수출을 전면 봉쇄하기위해 제재를 가했을 때도 중국은 미국의 요구를 배척하며 자국 기업의 이익을 지켜낼 것이라고 단호한 입장을 표명했다. 2018년 세관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하루 58만5400베럴의 이란산 원유를 수입했다. 이는 중국 전체 원유 수입량의 6%정도로 쉽게 포기할 수 없는 수입량이다.

미국도 지지 않고 지난해 9월 이란에서 석유를 운송한 데 대해 몇몇 중국 단체와 개인에 대해 제재를 가했다. 앞서 미국은 2018년 중국의 거대 기술회사 화웨이 CFO 멍완저우를 이란과 거래한 혐의로 기소했었다.

이란의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외무장관(오른쪽)이 테헤란에서 중국의 자이준 중동문제 특사를 만나고 있다. 그 뒤에는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오른쪽)와 이슬람 공화국의 창시자인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2019. 10. 22. | Atta Kenare/AFP via Getty Images

또한 반미 동맹 구도로 뭉치는 중국·러시아·이란은 솔레이마니가 폭살되기 며칠 전 호르무즈 해협 부근에서 합동 해상 훈련을 했다. 이란이 이정도 규모의 군사 훈련에 참가한 것은 1979년 이슬람 혁명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이란이 인도·오만·파키스탄·러시아 등과 양자간 해군 합동 훈련을 한 적이 있지만 중국·러시아와 동시에 합동 훈련하기도 처음이다.

지난해 12월 31일,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1년 안에 네 번째로 중국을 방문해 중국 왕이 외교부장을 만났다.

이란의 국방 수입은 주로 러시아와 중국에서 온다.

보스코 전 보좌관은 “그들(중국 정권)은 책임 있는 이해 관계자로 보이길 원한다. 갈등을 부추기기보다 진정시키는 국제 플레이어라는 이미지를 내세우고 싶어 한다”고 평가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또한 이와 비슷하게 중동지역에서 중국의 거취에 대해 “그들은 그곳(중동)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갖기를 원한다”고 주장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13일 스탠퍼드대 연설에서 “경제적인 참여를 하려고 한다면 우리는 그들(중국)에게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다. 중국 경제가 성공하기를 바란다”면서도 “중국과 정직하고 투명한 거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발생하게 될 위험은 명백하다”고 강조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캘리포니아 주 스탠포드 대학 후버 연구소에서 주최한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0. 1. 13. | John G. Mabanglo/Pool/AFP via Getty Images

중동은 ‘차이나 머니’에 대해 다른 경험자들로부터 배울 수도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동남아와 아프리카 국가들이 중국 정권과 거래하면서 “빚의 덫”에 빠졌으며 그로 인해 “중국 공산당의 정치적 속박에 빠졌음”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그들은 이런 상황을 예상하지 못했는데, 그들이 원하는 상황이 아니었다. 이제 그들은 되돌아갈 길을 찾고 있는데, 도움을 받으러 미국에 오고 있다”고 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중동 국가들은 차이나 머니가 필요 없는 부유한 국가들이기 때문에 상황은 좀 다르다면서도, 그들이 위험을 인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9/11 테러 이후 미국은 중국 견제에서 중동 테러 단속으로 정책 초점을 전환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런 정책 전환의 실질적인 수혜자가 중국이라고 주장해왔다. 2001년 이후, 중국 공산정권은 광범위하게 성장하고 확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