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지방 기자센터 폐지… 때늦은 언론 부패 정리

허칭롄(何淸漣)
2015년 06월 8일 오후 4:05 업데이트: 2024년 02월 19일 오후 3:27

5월 20일, 중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 뉴스간행 부문은 최근 특별 관리 업무에서 중앙 뉴스 부서의 지방 기구 1141곳을 통폐합하고, 법규를 위반한 1435명을 해고했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뉴스 시스템을 안다면 이는 중국 언론의 ‘뉴스 임대’를 뒤늦게 처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처리 대상이 중앙 언론의 지방 기자센터로 선정된 것은 그들이 ‘사업 편성, 기업 경영’으로 불리는 언론 시스템의 부패를 집대성했기 때문이다.

중국의 ‘뉴스 임대’

중국의 뉴스 임대 현상은 이미 중국 언론계의 암적인 존재가 되었다. 이 현상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언론 방송권을 이용해 보도 대상에 긍정적인 보도를 내보내고(업계에서는 이를 ‘대가성 뉴스’라고 부른다) 찬조금이나 광고료를 끌어들이는 방법이다. 이렇게 모은 돈은 언론과 개인이 나누는데 언론은 큰 몫을 챙기고 기자 개인은 수수료 명목으로 작은 몫을 챙긴다. 이러한 금액의 분배 비율은 언론사마다 다르고, 수수료 처리 방법도 모두 제각각이다.

일부에서는 이를 ‘원고 구성료’라고 부르고, 일부에서는 ‘광고료 공제’라고 부른다. 이러한 뉴스 임대는 언론의 직업윤리를 위반한 것이지만, 그들은 범죄로 여기지 않는다.

필자는 ‘중국의 뉴스 임대 현상에 대한 우려’라는 글에서, 중국 언론이 돈과 권력의 이중 압박에 몸부림친 건 최근의 일이 아니라, 1980년대 후반 ‘언론 시장화’부터 시작됐다고 말한 바 있다.

‘언론 시장화’란 정부가 재정 부담을 없애기 위해, 언론을 경제적으로 독립시켜, 재정 지원을 일부 또는 전부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은 서양 선진국의 관례에도 부합하지만, 양자 간 차이점은 서양 언론은 뉴스 자유와 출판 자유를 통해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반면 중국 언론은 이처럼 매우 중요한 생존 조건이 결여돼 있다. 그래서 국내 언론계는 정부의 지속적인 통제 아래 놓인 언론 시장화를 ‘언론을 걷어차 바다에 빠뜨리면서, 언론의 손발까지 묶으려 한다’고 묘사한다. 손발이 묶인 수영선수가 좋은 성적을 낼 수 없듯이 중국 언론은 정치와 경제의 이중 압박에 직면해 있다.

1990년대 중반 지방 각지에 언론을 설립하는 게 유행하면서 대가성 뉴스 경쟁도 치열해졌다. 기업은 영향력 높은 언론에 광고비를 지출하려 했고 영향력이 크지 않은 언론(중앙급 비인기 언론도 포함)에는 별다른 관심이 없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언론의 기자는 어쩔 수 없이 ‘뉴스 임대’를 시작했다. 즉, 지방 기업과 기관의 불미스러운 사건, 예컨대 사고, 부패행위, 위조품 생산 등을 잡아냈다. 한 마디로, 언론이 당사자의 오점을 잡아 협박하면, 당사자는 돈을 지불해 관련 보도를 막을 기회를 사는 것이다. 이는 중국 언론계의 ‘뉴스 임대’가 나쁘게 변한 것으로, 언론의 직업윤리를 저버린 데다 명백한 범죄행위이다.

중앙 언론의 지방 기자센터는 어떻게 자금 수탈의 경로가 됐을까?

중앙 언론의 지방 기자센터는 왜 뉴스 임대의 집대성이 됐을까? 이는 중국의 언론 제도가 조성한 것이다. 마오쩌둥 시대와 덩샤오핑 개혁 초기 신화사, 인민일보 등 소수의 중앙급 당 언론은 각지에 기자센터를 설치해 여론을 살피는 창구로 삼았고, 관련 책임자는 지방 정부를 감찰하는 책임을 맡았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중앙 각 부서는 잇달아 신문을 창간해, 적지 않은 ‘중앙급 언론’이 나타났다. 언론이 ‘사업 편성, 기업화 경영’의 길을 가자, 각 중앙급 언론은 전국 각지에 기자센터를 우후죽순으로 설립했다. 이 기자센터의 주요 사명은 ‘재원’을 개척해, 본사에 각지의 이익을 제공하는 주요 통로가 되었다. 이 때문에 수많은 지방기자가 뉴스 보도와 여론 감시라는 기치를 내걸고, 금품을 교묘히 취하거나 강탈했다.

언뜻 보기에는 기자 개인이 언론의 직업윤리를 위반한 것 같지만, 그 배후에는 본사의 ‘수익지표’ ‘상벌시스템’의 압력이 있었다. 기업에는 긍정적인 보도가 그리 많이 필요하지 않았기에, 기자센터는 지방 정부 특히 산업계의 ‘뉴스 임대’를 생존 도구로 삼았다.

산시성에 광산사고가 빈번하자, 2005년 이전, 이곳은 한때 언론계의 뉴스 임대 중심지가 되었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광산사고가 발생하면 ‘가짜 기자’가 현장에 도착했다고 한다. ‘가짜 기자’ 중 적지 않은 수는 각 중앙급 언론의 산시 기자센터에서 고용한 계약직이었다.

이들의 업무는 주로 광고와 찬조금을 끌어오는 것으로, 광산 사고 등을 이용해 ‘뉴스 임대’를 진행했다. 이는 각급 중앙 언론의 산시 기자센터가 생존하는 방식이었다. 만약 계약직원의 꼬리가 잡히면 기자센터와 신문사는 그를 ‘가짜 기자’라고 몰아붙여 관계를 부인했다. ‘산시 가짜기자 사건 조사: 누가 가짜기자에게 자생할 온상을 주었나’ 등 보도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집중 보도했고, 이후 중앙 언론 지방 기자센터의 부패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2006년, 중국신문출판총국은 ‘중화공상시보’ ‘중국공업보사’ ‘중국식품질량보’ 등 4개 신문사의 기자센터가 “뉴스 보도를 이유로 기층부서와 군중에게 사기를 치거나, 재물을 갈취하는 위법활동을 벌였다”고 통보했다. 당시 중앙 언론의 지방 기자센터가 기장 집중적으로 처리됐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만으로 각 기자센터의 뉴스 임대 현상을 근절할 수 없었다. 앞서 말한 ‘중앙급 언론’의 신분이 그다지 견고하지 않은 데다, 정부 부서에서 설립한 신문이었기 때문이다.

2014년 ‘정청급 기자 뤄반의 강호은원록’ 기사는 외부사회에 이런 상황을 제대로 알려주었다. 인민일보 허난성 기자센터장인 뤄반은 ‘인민일보’라는 황금 간판을 위협도구로, 인민망의 기사 송고권을 멋대로 조종하는 축재 도구로 삼았다. 그는 각 칼럼 당 100만 위안의 외주비를 받고, 칼럼 기사를 외부에서 불러온 인원에게 하청 주었다. 허난 지방기업이 그들의 손에 걸렸다면, 어쩔 수 없이 사람을 보내 그들에게 ‘협조’해야 했다.

기업 경영부서가 나서서 사정할수록, 인민망 허난 사이트에서 요구하는 금액은 더 높아졌다. 허난 신문출판국은 해당 사이트에 전혀 관여할 수 없었는데, 뤄반은 정청급 관료였고 ‘인민일보’는 언론계의 권력자였기 때문이다. 뤄반의 재물 착취가 하늘을 찌르자, 허난성의 뉴스 사기는 완연한 백색공포가 되었다.

뉴스 원고가 착취 도구가 된 건 시스템 때문

미디어학의 연구에 따르면, 현재 세계 언론은 3가지 시스템으로 운영된다고 한다. 첫째는 미국을 대표로 하는 민간 소유, 민간 경영이 위주인 언론 시스템이다. 둘째는 EU처럼 국가 소유, 민간 경영을 병행하는 언론 시스템이다. 셋째는 중국처럼 국가가 경영하지만, 상업적으로 운영되는 언론 시스템이다. 물론 뉴스 임대는 중국 같은 언론 시스템에서 주로 나타난다.

1980년대 이후, 중국 뉴스 언론은 정부가 재정을 보조하는 정부 사업기구에서 기업화로 운영되는 사업 단위로 전환했지만, 이는 인류 사회의 동종 언론계와는 차이가 난다. 정부는 언론을 여전히 정치권력의 연장선으로 여겼고, 행정 간섭을 받는 시장 경제는 뉴스 방송권을 돈으로 바꿔놓았다.

지방 정부의 입장에서, ‘인민일보’의 각지 기자센터는 중앙의 흠차대신과 다름없었다. 중국 정치가 육성한 무법자인 뤄반은 농간을 부리는 데 능했고, 결국 기자센터는 후안무치한 약탈 센터가 되었다. 뉴스 임대는 중국 언론의 시스템적인 암이며, 반부패로 일부 불량인사를 제거한다 해도, 뉴스 임대 현상을 근절할 수 없을 것이다.

*이 기사는 저자의 견해를 나타내며 에포크타임스의 편집 방향성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