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관영매체 웨이보 비판, ‘네티즌 입 막기’ 논란

이지성
2011년 09월 1일 오전 1:23 업데이트: 2019년 07월 22일 오후 9:34


 


중국 고위 당직자에 이어 관영매체들도 잇따라 중국판 트위터 ‘웨이보(微博)’ 등을 통한 루머 확산에 대응을 촉구했다. 이에 따라 당국이 마이크로 블로그 통제 강화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30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웹사이트들을 정화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라고 인터넷 기업과 당국, 공안에 요구했다.


 


신화통신은 이날 논평에서 “인터넷이 빠르게 공론의 장이 되고 있지만 이런 흐름은 헛소문 유포라는 혼탁함도 수반하고 있다”며 “건강한 인터넷 구축을 위해 헛소문이 자라는 토양을 철저히 제거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관계 당국에 루머 단속 강화 등 강도 높은 인터넷 정책을 당부했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인 환구시보(環球時報)는 8월 28일 자 오피니언면에 마이크로블로그에 무책임한 분위기를 경계하고 보다 지혜로운 관리를 당부하는 글을 실었다.



국영 TV도 최근 웨이보를 통해 근거 없는 소문이 확산되고 있다고 비판하고 관료들에 대한 잘못된 비방이 확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중국 관영 매체들이 웨이보 등을 통한 루머 유포를 비난하고 강력한 대책을 촉구하는 기사를 잇따라 게재하는 것은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 통제 강화를 원하는 공산당의 의중이 드러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지난 7월 중국의 고속열차 사고 이후 중국 언론들은 이례적으로 중국정부에 대해 비판적인 보도를 내보냈다.


 


보도에서 조차 당국의 눈치를 봐야하는 중국사회에서 비판적인 보도가 가능했던 것은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 등을 활용한 ‘시민기자’들의 활약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중국 정부는 열차사고와 관련하여 문제 지적이나 논평 대신 미담을 보도하라는 ‘보도지침’을 언론사들에 하달했다. 언론 통제를 통해 사고를 빨리 수습하고자 했던 것이다. 하지만 트위터 등을 통해 급속도로 확산된 비판여론에 중국 정부는 애를 먹을 수밖에 없었다.



결국 중국 언론들의 이례적인 비판기사들과 웨이보 등을 사용하는 네티즌들의 활약이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중국 정부는 사고원인과 사고 처리에 대한 성급했던 발표들을 여러 번 번복해야 했다.



이에 따라 중국 당국은 폭발적으로 가입자가 늘고 있는 웨이보 등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를 통해 원치 않는 정보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실제로 류치(劉淇) 베이징시 당서기는 지난주 웨이보 운영 업체 시나코프(SINA Corp. 新浪公司)를 방문한 자리에서 “인터넷 사이트들은 관리 강화방안을 활발히 모색하고 허위악성 정보 확산을 차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중국 인터넷네트워크정보센터에 따르면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 이용 인구는 6월말 기준 1억 9500만명으로 작년 말 대비 209% 증가했다. 최대 사이트 웨이보는 이용자 계정 수가 2억 개로 늘었다고 8월 보고됐다.



갈수록 늘어나는 인터넷 사용 인구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등을 통한 자유로운 여론 형성에 공산 사회인 중국 정부가 어떻게 대응을 해나갈지 주목된다.